Women, 50
Collaboration Project
Project Team 'Everyone’s Spring'
Project & Contents Director : Hyunjoo Kim (JTBC Plus)Data Director : Seongeun Kwon (Zero to one Partners)
UI Design : Doyeon Ku (Yonsei Univ, Hello World)
Data Resercher : Seungjin Lee, Youbin Choi, Jina Kim, Bokyung Lee (Yonsei Univ, Hello World)
Animation : VCRWORKS
www.women50.net
Animation Director : Boseong Gim
Producer : Eunjin Jeon
Animator : Jinhee Lee, Jihwan Kim, Hyejin Kim, Jonghoon Lee, Jaseon Koo, Hyeseong Lee
Sound Design : Mint Studio
Voice : Eunsung Lee, Joomi Kim
Year : 2018
Ep.1 After Being a Mother
Accelerated ageing and decreased role in households are ubiquitous concerns which the middle-aged women face with no exception. Most of the women aged 50 to 65 we’ve interviewed claim they’ve suffered an empty nest syndrome, a feeling of loss and sadness occurring in parents after raising their children to be independent. Jumi Kim, a 52-year-old housewife living in Ilsan, confesses that she felt depressed after sending off both of her children to universities.
“I’ve left my job upon the marriage and devoted myself to the kids and household work. I’ve dedicated all my time and effort towards educating my children until my second child also got into university. I was driven as if I was a full-time career woman. I couldn’t help it since a child’s achievement is regarded as his or her mother’s performance review. I was out of jobs when my two children started colleges. Housework’s just a chore. The kids now have their own lives and they no longer need my help; they rather avoid talking to me. I’ve spent the first half year catching up with my friends and travelling, of course, but there’s only so much I can do. I imagine there are people who can embrace this solitude well but I sure am not one of them. I’ve started to feel as if I’ve become a useless bum.”
급격한 노화, 가정 안에서 역할 축소로 인한 고민은 중년기 여성이라면 누구도 예외일 수 없는 공통의 상황이다. 실제로 50-65세의 중년 여성들을 만나 나눈 인터뷰에서 대다수가 자녀의 성장과 독립으로 인해 슬픔, 외로움, 상실감을 겪는 '빈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을 호소했다. 일산에 거주하는 김주미(52세, 주부) 씨는 자녀 둘을 모두 대학교에 진학시킨 후 우울감이 찾아왔다고 말한다.
"결혼과 동시에 직장을 그만 두고 육아와 가사에 전념했어요. 둘째 아이까지 대학에 가기 전까진 자녀 교육에 온 시간과 마음을 쏟았죠. 마치 업무에 매진하는 직장인처럼요. 그럴 수 밖에 없는 게, 아이들이 이룬 성과가 곧 엄마의 성적표였으니까요. 두 아이가 모두 대학생이 되고 나니까, 내가 해야 할 일이 감쪽같이 없어진 거예요. 집안일은 그냥 허드렛일이죠. 거기에 애들은 자기 삶이 생겨서 엄마의 도움을 필요로 하기는커녕, 대화도 잘 안 하려고 하고요. 물론 처음 반 년 정도는 친구들도 자주 만나고 여행도 가고 했죠. 그것도 한계가 있더라고요. 이런 여유를 기꺼이, 잘 즐기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저는 마냥 그럴 순 없는 성격이거든요. 급기야 나중엔, 잉여 인간이 된 기분마저 들더군요.“
Accelerated ageing and decreased role in households are ubiquitous concerns which the middle-aged women face with no exception. Most of the women aged 50 to 65 we’ve interviewed claim they’ve suffered an empty nest syndrome, a feeling of loss and sadness occurring in parents after raising their children to be independent. Jumi Kim, a 52-year-old housewife living in Ilsan, confesses that she felt depressed after sending off both of her children to universities.
“I’ve left my job upon the marriage and devoted myself to the kids and household work. I’ve dedicated all my time and effort towards educating my children until my second child also got into university. I was driven as if I was a full-time career woman. I couldn’t help it since a child’s achievement is regarded as his or her mother’s performance review. I was out of jobs when my two children started colleges. Housework’s just a chore. The kids now have their own lives and they no longer need my help; they rather avoid talking to me. I’ve spent the first half year catching up with my friends and travelling, of course, but there’s only so much I can do. I imagine there are people who can embrace this solitude well but I sure am not one of them. I’ve started to feel as if I’ve become a useless bum.”
급격한 노화, 가정 안에서 역할 축소로 인한 고민은 중년기 여성이라면 누구도 예외일 수 없는 공통의 상황이다. 실제로 50-65세의 중년 여성들을 만나 나눈 인터뷰에서 대다수가 자녀의 성장과 독립으로 인해 슬픔, 외로움, 상실감을 겪는 '빈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을 호소했다. 일산에 거주하는 김주미(52세, 주부) 씨는 자녀 둘을 모두 대학교에 진학시킨 후 우울감이 찾아왔다고 말한다.
"결혼과 동시에 직장을 그만 두고 육아와 가사에 전념했어요. 둘째 아이까지 대학에 가기 전까진 자녀 교육에 온 시간과 마음을 쏟았죠. 마치 업무에 매진하는 직장인처럼요. 그럴 수 밖에 없는 게, 아이들이 이룬 성과가 곧 엄마의 성적표였으니까요. 두 아이가 모두 대학생이 되고 나니까, 내가 해야 할 일이 감쪽같이 없어진 거예요. 집안일은 그냥 허드렛일이죠. 거기에 애들은 자기 삶이 생겨서 엄마의 도움을 필요로 하기는커녕, 대화도 잘 안 하려고 하고요. 물론 처음 반 년 정도는 친구들도 자주 만나고 여행도 가고 했죠. 그것도 한계가 있더라고요. 이런 여유를 기꺼이, 잘 즐기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저는 마냥 그럴 순 없는 성격이거든요. 급기야 나중엔, 잉여 인간이 된 기분마저 들더군요.“
Ep.2 Again, Looking for My Job
It is natural for a middle-aged population to sense the decline and detachment from their social and professional status, but the reality the women must face is especially dimmer than those of men. Eunseong Lee, a 52-year-old data mining and consulting expert, is in search of a new job while trying to leave her current firm. She says that the decline of professional status the women experiences is much steeper than their male colleagues. “The employees from late 40’s to early 50’s generally rise to be managers, chairs, or executives. Up till then, you can build up your rapport mostly on your performance and experience while working under someone. Women who climb up to executive level has to work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s most of whom are men. From that point on, your career must focus on building ‘a good chemistry’ with your boss and adapting your decision around him which may be irrelevant to your previous skillsets. Displaying loyalty is also vital in this role. Women, however, face challenges in connecting with their male supervisors in the first place. Women are outperformed by men because they miss out on socializing opportunities often catered to men, such as sports activities like golfing or climbing. They can start doubting their own ability by asking themselves, “Am I not good enough?” Not to mention women are often cast away from the major departments as spare executives for new enterprises or be placed to fill in high-risk positions.
중년의 시기에 사회적, 직업적인 하강과 은퇴를 감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지만 여성이 맞닥뜨리는 현실은 남성보다 좀 더 어둡다. 컨설팅 그룹에서 일하다가 이직을 준비 중인 이은성(52세, 데이터 마이닝 & 컨설팅 전문가) 씨는 여성이 남성보다 직업적 하강을 좀 더 빨리 느낄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 직장 안에서 관리자, 임원, 경영진의 역할을 하게 되죠. 그 전엔 실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경험, 노련함으로 입지를 다질 수 있어요. 그런데 여성이 그 단계를 넘어 회사의 운영, 경영에 참여하는 자리에 올라가면 동료, 상사가 대부분 남성인 상황이에요. 이 직무에선 실무적 역할 보다는 상사와의 '케미스트리'를 맞춰 의사 결정을 하고 일을 추진하는 것이 요구되는 직무 능력이죠. 충성심도 중요하고요. 그런데 여성 임원들은 우선 남성 상사와의 교감, 교류 등에서부터 어려움을 겪어요. 남성이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 예를 들어 골프나 등산 같은 레저, 스포츠 활동에 참여가 어렵다 보니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퍼포먼스가 자꾸 떨어지게 돼요. '내 능력이 부족한가?'하는 회의감까지 들기도 하고요. 그 밖에 여성 임원을 주요 분야보다는 신규 사업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스페어임원'으로 뽑는다든가, 리스크가 높은 일에 배정하는 경우도 왕왕 있어요."
It is natural for a middle-aged population to sense the decline and detachment from their social and professional status, but the reality the women must face is especially dimmer than those of men. Eunseong Lee, a 52-year-old data mining and consulting expert, is in search of a new job while trying to leave her current firm. She says that the decline of professional status the women experiences is much steeper than their male colleagues. “The employees from late 40’s to early 50’s generally rise to be managers, chairs, or executives. Up till then, you can build up your rapport mostly on your performance and experience while working under someone. Women who climb up to executive level has to work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s most of whom are men. From that point on, your career must focus on building ‘a good chemistry’ with your boss and adapting your decision around him which may be irrelevant to your previous skillsets. Displaying loyalty is also vital in this role. Women, however, face challenges in connecting with their male supervisors in the first place. Women are outperformed by men because they miss out on socializing opportunities often catered to men, such as sports activities like golfing or climbing. They can start doubting their own ability by asking themselves, “Am I not good enough?” Not to mention women are often cast away from the major departments as spare executives for new enterprises or be placed to fill in high-risk positions.
중년의 시기에 사회적, 직업적인 하강과 은퇴를 감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지만 여성이 맞닥뜨리는 현실은 남성보다 좀 더 어둡다. 컨설팅 그룹에서 일하다가 이직을 준비 중인 이은성(52세, 데이터 마이닝 & 컨설팅 전문가) 씨는 여성이 남성보다 직업적 하강을 좀 더 빨리 느낄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 직장 안에서 관리자, 임원, 경영진의 역할을 하게 되죠. 그 전엔 실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경험, 노련함으로 입지를 다질 수 있어요. 그런데 여성이 그 단계를 넘어 회사의 운영, 경영에 참여하는 자리에 올라가면 동료, 상사가 대부분 남성인 상황이에요. 이 직무에선 실무적 역할 보다는 상사와의 '케미스트리'를 맞춰 의사 결정을 하고 일을 추진하는 것이 요구되는 직무 능력이죠. 충성심도 중요하고요. 그런데 여성 임원들은 우선 남성 상사와의 교감, 교류 등에서부터 어려움을 겪어요. 남성이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 예를 들어 골프나 등산 같은 레저, 스포츠 활동에 참여가 어렵다 보니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퍼포먼스가 자꾸 떨어지게 돼요. '내 능력이 부족한가?'하는 회의감까지 들기도 하고요. 그 밖에 여성 임원을 주요 분야보다는 신규 사업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스페어임원'으로 뽑는다든가, 리스크가 높은 일에 배정하는 경우도 왕왕 있어요."